본문 바로가기
미국 IT 테크기업 정보방/미국 주식 News Clipping

'황금 포트폴리오' 삼성전자…글로벌 반도체 시총 1위 '탈환'

by 이니셜 에이 2020. 12. 26.
반응형

미국 주식을 주로 하지만, 국내 주식 중엔 유일하게 삼성전자를 포트에 담아두고 있다. 그리고 수익률도 괜찮은 편이다. 삼성전자가 최근 주가 상승에 힘입어서 글로벌 반도체 시총 1위를 탈환했다는 한경 기사가 오늘 떴다. 대부분의 한국 언론이 그렇듯이 삼성전자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가 대부분이라, 기사 내용 중 팩트만 요약해 본다. 

 

팩트 요약

긍정

  • 삼성전자가 대만 파운드리 업체 TSMC를 제치고 글로벌 반도체 시가총액 1위 자리를 탈환
  • 인텔이 세계 3위에서 5위(1929억달러)로 추락, 엔비디아(3217억 달러)가 3위를 꿰참
  • 삼성전자는 세계 D램과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각각 41.3%, 33.1%의 점유율(3분기 기준)로 1위를 기록

부정

  • 올해 4분기 실적은 기대에 못 미칠 것. 영업이익은 3분기(12조3532억원) 대비 20%가량 적은 9조 9000억 원대로 예상
  •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TSMC(4분기 기준 55.6%)와 삼성전자(16.4%)의 격차 여전히 큼

(기사엔 없는 내용이지만) 삼전의 반도체 사업 비중이 높긴 하지만, 모바일, 생활가전, 네트워크 사업 등 비 반도체 사업의 비중이 여전히 높은데, TSMC와 삼성전자의 시가 총액을 비교해서 삼전이 반도체 1위를 탈환했다고 하는 것은 정확한 비교는 아니라는 생각. 


삼성전자가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업체 TSMC를 제치고 글로벌 반도체 시가총액 1위 자리를 탈환했다. 내년에 반도체 산업 호황이 예상되면서 D램, 파운드리, 통신칩 등 ‘황금 포트폴리오’를 갖춘 삼성전자의 성장성이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524조 3553억 원(약 4751억 달러·이하 24일 종가 기준)으로 TSMC를 제치고 기업가치 세계 1위를 되찾았다. 대만 증시에 상장된 TSMC 시총은 13조 2200억대 만 달러(약 518조 7528억 원, 4701억 달러)로 집계됐다. 삼성전자 시총이 TSMC보다 커진 것은 지난 7월 17일 이후 약 5개월 만이다.

TSMC도 하반기 들어 주가가 63% 급등할 정도로 선전했지만 종합반도체기업(IDM)인 삼성전자의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가 시장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 역시 TSMC처럼 파운드리 사업 실적이 호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메모리 반도체 가격도 회복되고 있다. 삼성전자 주력 제품인 D램이 내년 1분기부터 ‘슈퍼 사이클(장기 호황)’에 진입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올해 글로벌 반도체업체의 지형은 급격히 바뀌고 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인텔이 세계 3위에서 5위(1929억 달러)로 추락했고, 그래픽 처리장치(GPU) 전문기업 엔비디아(3217억 달러)가 3위를 꿰찼다. 반도체 장비업체인 네덜란드 ASML(2025억 달러)도 인텔을 제치고 4위에 올랐다.


파운드리, 퀄컴·엔비디아 물량 따내며 내년까지 풀가동


올 3분기까지 세계 반도체업계의 ‘주연’으로는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 TSMC가 꼽혔다. 지난 5월 미국의 ‘화웨이 거래 금지’ 조치에 흔들렸지만 애플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주문을 싹쓸이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7월엔 세계 반도체 기업 중 가장 먼저 시가총액 400조 원을 돌파했다.

지난달 삼성전자의 뒤집기가 시작됐다. 이달 들어 주가가 16.6% 급등하며 맹렬한 속도로 추격하더니 24일 시가총액 500조원을 넘어서며 TSMC를 제쳤다. 메모리·시스템반도체 사업 업황이 동시에 개선된 영향이 컸다.


'황금 포트폴리오' 삼성전자…글로벌 반도체 시총 1위 '탈환' , ‘풀가동’ 중인 파운드리


25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시가총액 500조 원을 돌파한 결정적인 계기로 ‘파운드리’ 사업의 성장성이 꼽힌다. 올 들어 5nm(나노미터, 1nm=10억 분의 1m) 초미세공정 기술력을 앞세워 퀄컴의 최신 AP ‘스냅드래건 888’ 수탁생산 계약을 따냈고 엔비디아의 그래픽 처리장치(GPU) 물량도 가져왔다. 시장 점유율에선 TSMC(4분기 기준 55.6%)와 삼성전자(16.4%)의 격차가 작지 않지만 매출 성장성만큼은 삼성전자가 앞선다는 평가가 나온다.

내년 파운드리 전망은 더 긍정적이다. 5세대(5G) 이동통신, 인공지능(AI) 시장이 커지면서 팹리스(생산시설이 없는 설계 전문업체)에서 5G 통신칩, GPU 주문이 쏟아지고 있다. 내년 말까지 주문이 밀려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내년 파운드리 매출은 올해 추정치(15조4000억원)보다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D램은 내년 ‘장기 호황기’ 진입


최근엔 삼성전자의 ‘메모리반도체’ 역량이 부각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세계 D램과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각각 41.3%, 33.1%의 점유율(3분기 기준)로 1위를 기록 중이다.

지난달까지는 메모리반도체 업황이 좋지 않았다. D램 고정거래 가격(DDR4 PC D램 범용제품 기준)은 지난 6월 3.31달러에서 11월 2.85달러로 하락했다. 재고가 쌓인 데이터센터 업체들이 주문을 줄인 영향이 컸다.


이달 들어 분위기가 바뀌었다. 업황의 선행지표 역할을 하는 D램 현물가는 이날 3.45달러로 지난달 말(2.77달러) 대비 24.5% 급등했다. 세계 3위 마이크론의 대만 공장 정전 영향도 있었지만 업계에선 “내년 D램 슈퍼 사이클을 반영했다”는 분석에 힘을 싣고 있다.

모바일 D램 수요는 회복세로 돌아섰다. 5G 스마트폰 출시 확대 영향이 크다. 구글, 아마존 등의 서버 D램 구매도 재개됐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연구원은 “AI, 5G 등의 영향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증가 추세”라며 “글로벌 반도체 업황이 업사이클에 접어들었다”라고 분석했다.


내년 영업이익 26% 증가


반도체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 삼성전자의 다른 주력 사업에 대한 기대도 크다. 내년 초부터 갤럭시S21과 미니 LED TV 등 신제품이 출시되기 때문이다. 내년 삼성전자 실적은 ‘고공행진’을 이어갈 전망이다.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내년 매출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259조 6594억 원, 영업이익은 46조 5607억 원이다. 올해보다 매출은 9.2%, 영업이익은 26.2% 높은 수치다. 영업이익이 50조 원을 넘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반도체 영업이익은 올해 추정치(약 20조 원)보다 50% 급증한 3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다음달 초 공개되는 올해 4분기 실적은 기대에 못 미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영업이익은 3분기(12조 3532억 원) 대비 20%가량 적은 9조 9000억 원대로 예상된다. 지난 10~11월 하락한 반도체 가격과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 원·달러 환율 하락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122571141

 

반응형

댓글